최신기술/도커 & 쿠버네티스 (9)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API Machinery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지원하는 두 개의 쿠버네티스 API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고랭 클라이언트(Golang Client): https://github.com/kubernetes/client-go 파이썬 Python: https://github.com/kubernetes-incubator/client-python kubernetes-client/python Official Python client library for kubernetes. Contribute to kubernetes-client/pyth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그 외 아래와 같은 사용자 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kubeadm으로 구성하기 kubeadm으로 VM환경으로 노드를 구성하기 위해 VirtualBox를 설치하고 머신을 추가하여 다수의 노드를 구성합니다. OS는 CentOS 7환경으로 구성하며 마스터 1, 노드 2개의 VM으로 구성합니다. 다른 리눅스 배포판도 사용할 수 있으며 http://kubernetes.io 웹사이트에서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 생성 쿠버네티스 마스터용 가상머신을 먼저 구성합니다. VirtualBox를 실행하고 왼쪽 상단 모서리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여 이름을 k8s-master로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Linux를 선택하고 유형을 Red Hat(64-bit)으로 선택하면 이후 메모리 크기와 하드 디스크를 설정하게 됩니다. 메모리는 적어도 4GB로 선택하도록 합니다(로컬의 메모리 여유가 없.. 쿠버네티스 한글화 기여 이번 포스트는 쿠버네티스( kubernetes) 한글화 Contribution(기여)입니다. 쿠버네티스는 CNCF 소속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오픈소스에 참여하여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쿠버네티스 문서의 한글화로 컨트리뷰터가 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가이드를 정리합니다. 쿠버네티스는 CNCF 재단 소속이므로 해당 기관에 먼저 가입해야 합니다. CNCF 가입(Cloud Native Computing Foundary) Individual로 가입 : https://identity.linuxfoundation.org/ (깃헙과 동일한 계정으로 가입해야 한다) 계정 생성 계정 확인 CLA 서명 깃헙 계정 연결 고양이 그림 클릭 제출 일감찾기 이슈 템플릿대로 이슈 생성 코멘트 적고 이슈 할당받기 작업, 한글화 .. 레플리케이션으로 스케일링(확장) 하기 블로그를 하면서도 참 글쓰기가 쉽지가 않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느라.. 오늘은 간단히 kubectl로 레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해당 레플리케이션의 확장을 해본다. 도커로 만든 이미지를 kubectl run 커맨드로 일반적으로 실행하게 되면 보통은 디플로이먼트(deployment)형태로 포드가 생성된다. 하지만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로 생성하는 방법이 바로 아래와 같다. kubectl run [포드이름] --image=[이미지이름] --port=[접속포트] --generator=run/v1 generator=태그이름으로 붙여주면 리소스를 포드가 아닌 레플리케이션으로 만들게 된다. 생성후에 kubectl get replicationcontrollers 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의 목록고 같이 원하는 레플리케이션 수와..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마스터 소개 http://www.acornpub.co.kr/book/mastering-kubernetes-2 쿠버네티스 마스터 2판이 순항중이다. 다른 서적들은 커밍 순~~ [쿠버네티스]다양한 클러스터 환경으로 전환하는 방법 요즘 좀 바쁜시기인지라 포스팅하기가 쉽지가 않다..그래도 십시일반으로 한 스푼씩 떠먹는 기분으로 오늘은 미니큐브 클러스터에서 GKE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미니큐브로 전환] $ minikube startStarting local Kubernetes cluster......Setting up kubeconfig... Kubectl is now configured to use the cluster 이렇게 하면 kubectl이 미니큐브를 다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GKE로 전환] $ gcloud container clusters get-credentials first-gke-cluster 이렇게 하면 first-gke-cluster 라는 Google Kubernates Engine의 클러스터 환경으로 전환된다. [도커]도커 설치해 보기 도커의 첫번째 포스팅이다.사실 쿠버네티스를 먼저 시작하기 전에 도커를 시작해야하는데 순서가 좀 바뀌었다;; 가상화에 대해 아실지 모르겠으나 가상화는 전가상화, 반가상화로 나눌수가 있다.(자세한 설명은 생략)쉽게 이야기해서 VirtualBox, KVM, Xen 등의 가상화를 이용하는것, 즉, Guest OS를 가상화 플랫폼 위에 올리고 자원을 공유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한다. 도커는 반가상화보다 더 경량화된 방식으로 말그래도 컨테이너화를 위해 사용한다.경량화된 컨테이너 이미지로 다수를 복사해서 사용할수 있는 획기적인 방식이다. 여기서는 도커를 설치하고 빌드해보도록 하겠다. 1. 도커의 설치패키지를 설치하는 스크립트 방식도 있지만 여기서는 간단하게 apt-get으로 사용한다. apt-get dockerapt.. [쿠버네티스]프록시 설정과 웹 서버 접근 두번째 쿠버네티스 포스트이다. 외부에서 내가 만든 노드의 포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외부로의 연결을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다. 서비스는 크게 몇가지 종류로 나눌수가 있는데 1. 클러스터 IP를 이용(내부에서만 접근 가능)2. 프록시 설정3. Node Port를 이용4. LoadBalancer를 만들어 접근 여기서 프록시를 만들어서 웹서버에 접근해보도록 한다. 다른 터미널을 하나 열어서 kubectl proxy로 프록세를 생성하자. 해당 포트로 접근해보자아까 도커에서 만든 node.js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이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