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하면서도 참 글쓰기가 쉽지가 않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느라..
오늘은 간단히 kubectl로 레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해당 레플리케이션의 확장을 해본다.
도커로 만든 이미지를 kubectl run 커맨드로 일반적으로 실행하게 되면 보통은 디플로이먼트(deployment)형태로 포드가 생성된다.
하지만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로 생성하는 방법이 바로 아래와 같다.
kubectl run [포드이름] --image=[이미지이름] --port=[접속포트] --generator=run/v1
generator=태그이름으로 붙여주면 리소스를 포드가 아닌 레플리케이션으로 만들게 된다.
생성후에 kubectl get replicationcontrollers 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의 목록고 같이 원하는 레플리케이션 수와 현재의 수가 1개로 표시된다.
여기서 kubectl scale rc [리소스이름] --replicas=3 으로 레플리케이션 수를 스케일해보자.
아래 목록 처럼 세개의 레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을 볼 수 있다.
'최신기술 > 도커 &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kubeadm으로 구성하기 (0) | 2021.01.26 |
---|---|
쿠버네티스 한글화 기여 (0) | 2019.06.25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마스터 소개 (0) | 2018.09.13 |
[쿠버네티스]다양한 클러스터 환경으로 전환하는 방법 (0) | 2018.09.12 |
[도커]도커 설치해 보기 (0) | 2018.08.28 |